
목적프로젝트 중인 서비스에는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다른 사람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공유 버튼이 있다.앱에서 이 버튼을 누르면 공유되는 링크 끝에 tab=app이라는 값이 붙도록 설정했고 이 링크를 클릭하면 앱과 비슷한 형태의 웹 페이지가 열린다.앱을 설치하지 않은 사용자가 이 링크를 받아서 다시 다른 사람에게 공유할 경우엔 tab=web이라는 값이 붙은 링크가 공유되도록 설정했다.공유된 링크가 어떤 환경(앱 or 웹)에서 만들어졌는지 구분해서 사용자들이 앱과 웹 중 어디에서 더 활발하게 공유하는지 파악하고 싶었다.Google Analytics를 통해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tab=web과 tab=app 값에 따라 사용자의 공유 행동을 분석해보자.이 글에서 실시간으로 디버깅하면서 GA에 이벤트가 제대로 ..

Google Play Console에서 이것저것 빠르게 설정하고 싶은데.. 영어만 보면 울렁증이…🤣 그러니 한국어로 변경해보자! 1. Google Account 이동오른쪽 상단의 Manage deveoloper accounts를 클릭하여 Google Account로 이동한다.만약 클릭해도 Google Account로 이동하지 않는다면 직접 Google Account를 검색하여 이동한다. 2. Language 설정Personal info - Language 클릭 3. 한국어 추가Add another language를 클릭하여 한국어를 추가한다. 4. 우선 순위 설정위쪽 화살표 ↑를 클릭하여 한국어를 우선 순위로 설정한다. "한국어가 선호 언어로 추가됨" 메시지가 뜨면 설정 완료! 5. 확..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웹사이트 방문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도구를 추가하기로 했다. GA와 Umami 등 다양한 도구를 고민하다가 GA를 선택했다.스크립트만 추가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어서 확실히 Umami보다 설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사용자들의 유입 경로, 클릭 이벤트, 페이지 이탈률 등 다양한 지표도 활용할 수 있다. 0. 로그인아래 사이트에 방문하여 애널리틱스에 로그인한다.https://marketingplatform.google.com/about/analytics/ 비즈니스를 위한 애널리틱스 도구 및 솔루션 - Google 애널리틱스Google 애널리틱스는 고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분석한 비즈니스 통계를 바탕으로 웹사이트를 개선하고 맞춤 잠재고객..

구매한 도메인으로 이메일을 설정해보자.서비스 도메인과 동일한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면 사용자들에게 공식적인 이메일이라는 것을 전달할 수 있고 고객 문의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비용 고민없이 유료로 Gmail 환경을 설정하려면 Google Workspace을 사용하면 된다. ($6/월 - 약 ₩9,000원)필자는 아직 서비스 관련 고정 수입이 없고 비용을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무료 서비스를 찾다가 Zoho Mail을 알게 되었다. Zoho Mail스타트업이나 소규모 비즈니스에 적합한 이메일 서비스이다.무료 플랜을 제공하여 도메인만 구매하면 무료로 이메일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그 외 일정, 연락처, 업무 관리 기능 등이 있다. https://www.zohomail.com/ Secure Busin..

처음 도메인을 설정할 때는 서비스명이 정해지지 않아 임시로 가명 도메인을 사용하다가 서비스명이 확정되어 새 도메인을 구매하여 변경하기로 했다.기존 도메인을 새 도메인으로 안전하게 변경하기 위한 AWS 설정을 진행해보자.필자는 AWS 서비스 중 Route 53, EC2, S3, CloudFront, RDS를 사용중이다.참고로 새 도메인은 기존 도메인과 별개로 설정하기 때문에 기존 도메인이 만료되더라도 문제없이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다. 1. 도메인 등록1-1. 도메인 구매여러 도메인 사이트 중 호스팅케이알에서 도메인을 구매했다.나중에 연장 비용까지 고려했을 때 호스팅케이알에서 구매시 1년에 1만원 정도 절약할 수 있어 선택하게 되었다. 1-2. Route 53에 도메인 추가새 도메인으로 호스팅 영역을..

처음 Google Play 개발자 계정을 만들 때 개인 계정으로 결제하고 나서 아차 싶었다.곧 출시할 앱은 팀 프로젝트이고 앞으로도 팀 단위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팀 명의의 google 계정으로 새로 만드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하여 개인 계정으로 한 결제건은 환불을 요청하기로 했다. Google Play 개발자 계정을 만들 때 앞으로 어떻게 운영될지 신중하게 판단하고 어떤 계정으로 시작할지 결정하는게 정말 중요하다.개인 계정으로 만들면 하나의 계정 아래 여러 앱을 올릴 수 있어 운영 측면에서 유연성이 높지만, 그 계정에 문제가 생기면 등록한 모든 앱의 운영이 중단될 수 있다는 리스크도 존재한다.여러 명이 함께 관리하는 서비스라면 (개인을 대표로 하지 않고) 팀 명의 계정을 만들어 1️⃣ 관리..

앱 개발 프로젝트 후 점점 완성도를 높여가고 있다.Google Play 스토어에 출시하기 위해 Google Play 개발자 계정을 생성하는 과정을 정리해보았다.Google Play 개발자 계정은 개인이 개발한 앱을 Google Play 스토어에 배포할 수 있는 계정이다.가입부터 결제까지 가이드를 준비했으니 처음 도전하는 분들도 어렵지 않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개발자 계정 생성하기 전, 개인 계정 or 팀 계정이 고민되는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 )2025.02.28 - [기술 스택/Etc] - Google Play 개발자 계정 등록비 환불 요청하기 ✅ 준비물Google 계정결제 카드($25/1회 - 약 ₩36,000원)계정 소유자 이름과 현재 주소가 표시된 서류(9-3에서 자세히) 아래..

Android Studio를 통해 개발 중인 앱을 갤럭시 스마트폰에서 직접 실행하고 테스트해보자.USB 디버깅을 설정하고 스마트폰을 PC에 연결하기만 하면 간단히 해결된다. 1. PC에 드라이버 설치아래 링크를 통해 통합 USB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https://www.samsungsvc.co.kr/download 다운로드 자료실 | 스스로해결 | 삼성전자서비스 www.samsungsvc.co.kr 2. 스마트폰 USB 디버깅 활성화스마트폰을 Android Studio에 연결하려면 USB 디버깅을 활성화해야 한다. 2-1. 개발자 모드 활성화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 → 빌드 번호 7회 빠르게 연속 터치 → "개발자 모드가 활성화되었습니다" 메시지 확인 2-2. 개발자 옵션설정으..

프로젝트의 앱 아이콘을 제작하기 위해 피그마를 작업하던 중에 기본 폰트가 아닌 예쁜 폰트를 활용하기 위해 눈누로 폰트를 다운받아 피그마에 적용하는 과정을 작성한다.과정은 간단하다! 1. 원하는 폰트를 찾는다.필자는 눈누를 활용했다. 무료 폰트가 다양하다.https://noonnu.cc/ 눈누상업용 무료 한글 폰트 사이트noonnu.cc 2.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맘에 드는 폰트를 선택했다면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한다. 3. 폰트 다운로드폰트 파일을 다운받는다. 4. zip 파일을 압축 해제한다. TTF 형식의 폰트를 더블클릭한다.OTF와 TTF 폰트의 차이OTF(OpenType Font): 조금 더 고급 기능을 지원한다. 글자 스타일이나 장식 같은 추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TF(T..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