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처음 도메인을 설정할 때는 서비스명이 정해지지 않아 임시로 가명 도메인을 사용하다가 서비스명이 확정되어 새 도메인을 구매하여 변경하기로 했다.
기존 도메인을 새 도메인으로 안전하게 변경하기 위한 AWS 설정을 진행해보자.
필자는 AWS 서비스 중 Route 53, EC2, S3, CloudFront, RDS를 사용중이다.
참고로 새 도메인은 기존 도메인과 별개로 설정하기 때문에 기존 도메인이 만료되더라도 문제없이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다.
1. 도메인 등록
1-1. 도메인 구매
여러 도메인 사이트 중 호스팅케이알에서 도메인을 구매했다.
나중에 연장 비용까지 고려했을 때 호스팅케이알에서 구매시 1년에 1만원 정도 절약할 수 있어 선택하게 되었다.

1-2. Route 53에 도메인 추가
새 도메인으로 호스팅 영역을 생성한다. 생성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4개의 네임서버를 할당한다.
호스팅 영역 생성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 )
2024.06.19 - [기술 스택/AWS] - [AWS] Route53 네임서버 설정(+ gabia 도메인 구매)
1-3. 네임서버 업데이트
호스팅케이알에 네임서버를 Route 53의 네임서버로 업데이트한다.

2. SSL 퍼블릭 인증서 발급
AWS Certificate Manager > 인증서
인증서 요청 - 퍼블릭 인증서 요청
퍼블릭 인증서 요청
Route 53에서 레코드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Route 53에서 CNAME 레코드를 생성하여 도메인 소유권을 검증한다.
DNS 레코드를 성공적으로 생성했습니다. 메시지가 뜨면 모든 도메인이 검증되어 인증서가 발급되었음을 뜻한다.
Route 53에 레코드 2개가 추가 확인되었다.
A레코드 추가하여 도메인 연결
- 도메인: www.example.com
- 값: EC2 IP주소
3. CloudFront 설정
Route 53에서 기존 호스팅 영역처럼 DNS 레코드를 설정하려면 → cloudFront에서 대체 도메인을 추가해야 하는데 → 그러려면 대체 도메인을 포함하는 새로운 SSL 퍼블릭 인증서(ACM)를 발급받고 CloudFront 배포에 연결해야 한다.
위의 2. SSL 퍼블릭 인증서 발급과 같은 방식으로 대체 도메인 인증서를 발급받는다. 필자는 sub.example.com 인증서를 발급받았다.
3-1. 새로운 인증서로 변경
CloudFront > 배포 > 배포 도메인 선택 > 편집
SSL 인증서 변경하여 배포 설정을 업데이트한다.
3-2. 대체 도메인 추가
대체 도메인(CNAMEs)에 sub.example.com을 추가한다.
3-3. 호스팅 영역 추가
Route 53 호스팅 영역에서 A 레코드(Alias Record)를 추가한다.
- 도메인: sub.example.com
- Alias 대상(Target): CloudFront 배포 선택
모든 설정을 완료했다. 도메인 설정을 다시 해보니 한번 해봤을 때보다 더 익숙해졌고 기존 도메인을 설정할 때는 금방 지나쳤던 DNS, 리디렉션, SSL 인증서 적용 등의 개념을 이번 기회에 좀 더 이해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도메인 변경이나 관련 설정이 필요할 때마다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글이 될 것 같다.
'기술 스택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RDS DB 인스턴스 시간대 변경 (0) | 2024.10.14 |
---|---|
[AWS] 계정 보안 강화(w. Google Authenticator) (0) | 2024.10.08 |
[AWS] EC2 Git 설치 및 프로젝트 Clone (2) | 2024.08.28 |
[AWS] Caddy로 도메인 연동 및 HTTPS 활성화하기 (0) | 2024.06.29 |
[AWS] Amazon RDS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0) | 2024.06.26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