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습목표 : Companion Object를 활용하여 객체를 생성해보자. Companion Object 코틀린은 자바의 static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Companion Object(동반 객체)를 제공한다. Companion Object는 클래스 내부에 선언된 특별한 객체이다. 정적인 메서드나 변수를 선언하고 객체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companion object를 사용하여 동반 객체를 정의하고 그 내부에 create() 메서드를 작성했다. 이 메서드는 새로운 Book 객체를 생성하고 반환한다. 따라서 book 변수는 새로운 Book 인스턴스를 참조하게 된다. Book.Companion.create()를 Book.create()로 생략 가능 프로퍼티 역시 써줄 수 있다. Compan..

📝 학습목표 : 람다식의 기본 구조와 활용 예시를 살펴보자. 람다식이란? 람다식은 코틀린에서 함수를 값처럼 다룰 수 있는 익명함수이다. 메소드의 파라미터로 넘겨주거나 리턴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익명함수: 함수처럼 동작하는 이름이 없는 함수 람다식의 기본 구조 람다식은 val lamdaName : Type = { argumentList -> codeBody } 구조이며 항상 마지막 코드가 리턴값이다. 예를 들어, 정수를 입력받아 제곱을 반환하는 함수를 람다식으로 표현해보자 아래 코드는 input Int를 output Int로 return한다. (Int) -> (Int)이기 때문에 namber가 Int라는 타입추론이 가능하다. (Int) -> (Int)를 생략하고 number에 타입을 지정하여 선언해줄..
프로그래머스 문제를 풀던 중 for문을 통해 반복적으로 반환된 배열들을 하나의 배열로 합치는 작업이 필요했다. 구글링으로 전개 연산자 (...)를 알게 되어 예제코드와 함께 내용을 정리해본다. 전개 연산자(Spread Operator) 전개 연산자 (...)는 배열이나 객체의 요소를 개별로 분리하거나 함수의 인수로 전달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배열이나 객체를 변경하지 않고 새로운 배열이나 객체를 생성한다. 간결하고 가독성이 좋은 반면 매번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므로 대량의 요소가 있는 경우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날 수 있다. 배열 요소 분리 function solution(my_string) { const myStr = [...my_string] return myStr } consol..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각 객체들을 조합해서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차 클래스라는 틀에 공통적인 특성의 객체들을 묶을 수 있다. Class = 차(car) Object = Benz, Audi, Tesla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장점 1. 프로그램 설계가 유연하다. 2. 추가 및 수정이 쉬워 유지 보수가 편하다. 3. 큰 규모의 객체나 비슷한 모양의 객체를 계속 찍어내야 할 때 용이하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단점 1. 설계부터 해야하니 개발속도가 느리다. 2. 객체수가 많아지면 실행속도가 느리다. 3. 메모리양이 증가함에 따라 비용이 커진다. Javascript 사용으로 Class에 객체지향을 반영한 코드 class MyMath { constructor(a, b) { this.number..
배열(Array) : 순서대로 여러개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index|배열된 요소에 접근, 확인, 수정 다차원배열(multi-dimensional array)_1 function multiArray() { const myArray = [["becoming", 29], ["developers", 30]]; return myArray; } console.log (multiArray()) 다차원배열(multi-dimensional array)_2_문자 array에 접근 function getElement() { const arr = [3, [5, ["array", 8], 2 + 3], [0]]; return arr[1][1][0]; } console.log (getElement()) //array arr[0]..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