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를 하면서 HTML에서 HLS(M3U8) 형식의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했다.Safari에서는 기본적으로 HLS를 지원하지만 Chrome 및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했다. Chrome에서 m3u8 영상을 재생하려면 Video.js 또는 HLS.js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면 된다는 글을 보고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여러 문제를 마주하여 해결 과정을 정리해 보았다. 첫번째 시도 - video.js 라이브러리 사용유튜브 영상을 보면서 똑같이 실행해보았으나 Safari에서는 재생되었으나 Chrome에서는 "The media could not be loaded, either because the server or network failed or b..

mp4 영상으로 화면을 구성하는 작업을 하다가 mp4를 추가한 채로 커밋을 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발생했다. 원인이 에러는 Git 저장소에 너무 큰 파일(mp4 영상 파일)을 추가해서 용량 초과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 Git은 단일 푸시에 대해 최대 2GB 제한을 두고 있다.[GitHub Docs 푸시 제한 정보]https://docs.github.com/ko/get-started/using-git/troubleshooting-the-2-gb-push-limit 해결1. mp4 파일을 추적하지 않도록 .gitignore 파일에 추가# .gitignore에 mp4 파일 추가*.mp4 2. 최근 커밋 되돌리기이미 mp4 파일이 포함된 상태로 커밋을 했다면 최근 커밋을 취소한다.git res..

인스턴스를 재부팅하고 pm2 restart all 명령어를 실행했더니 [PM2][WARN] No process found 에러가 발생했다.현재 PM2에 등록된 프로세스가 없다는 것이다.재부팅하면서 PM2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았거나 PM2가 자동으로 시작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해결1. PM2 상태 확인출력된 리스트가 비어 있다. PM2에 등록된 프로세스가 없음을 의미한다.$ pm2 list 2. PM2 복원저장된 프로세스 상태를 복원하기 위한 명령어를 실행한다.$ pm2 resurrect 3. PM2 상태 저장재부팅 후에도 PM2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복원하기 위해 현재 프로세스를 저장한다.$ pm2 save 이 명령어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상태를 /home/ubuntu/.pm2/dump.p..

EC2 환경에서 MySQL에 접속하려고 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원인MySQL 서버가 특정 IP에서 너무 많은 연결을 감지해서 해당 IP 주소의 연결을 차단했다.반복적인 비정상 연결 시도를 방지하기 위해 MySQL의 보안이 작동한 것이다. 해결차단된 IP를 해제하려면 호스트 캐시를 비워야 한다.추가로 동일한 문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해보자. [MySQL 호스트 캐시 설정]https://dev.mysql.com/doc/refman/8.0/en/host-cache.html#host-cache-operation MySQL :: MySQL 8.0 Reference Manual :: 7.1.12.3 DNS Lookups and the Host Cache7.1.12.3 DNS Lookups..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