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프로젝트를 Git으로 관리하려면 프로젝트와 Git 저장소를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은 보통 프로젝트의 기초 셋팅 후에 진행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package.json을 생성하고 .gitignore을 설정한 뒤 app.js로 간단한 서버 구성을 마쳐 초기 폴더 구조가 완성되었을 때가 적절한 시점이다.
자, 이제 GitHub와 로컬 프로젝트를 연결하고 변경사항을 업로드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1. github 로그인
아래 주소로 이동하여 github 로그인한다.
2. repositories 이동

3. New 버튼 클릭

4. 레포지토리 생성
Repository name을 입력하고 해당 레포지토리 공개여부를 선택한 뒤 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한다.

5. 생성된 주소 복사

6. 원격 저장소를 등록
프로젝트 터미널에 원격 저장소를 등록하는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사용자명/레포이름.git
7. 커밋
git add .
git commit -m "commit message"
8. (선택) 브랜치 이름 바꾸기
예를 들어 현재 브랜치가 master인데 main으로 바꾸고 싶은 경우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git branch -M main
-M(--move --force의 줄임말): 강제로 브랜치 이름을 바꾼다는 의미
9. 푸시
원격 저장소에 해당 프로젝트 코드를 푸시한다.
git push -u origin main
-u(upstream): 이 브랜치(main)를 기본 업로드 대상으로 설정한다는 의미
이 작업 다음부터 코드를 푸시할 경우엔 git push만 입력해도 된다.
'그외 기록 > 운영 및 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M2] 클러스터 VS Fork 모드 차이(+ CPU 코어 개념) (0) | 2025.09.11 |
|---|---|
| [FileZilla] 파일질라 설치 및 AWS 서버 연결 (0) | 2025.09.01 |
| Google Play Console 한국어 설정하기 (0) | 2025.03.31 |
| [Zoho Mail] 무료로 도메인 이메일 설정하기 (0) | 2025.03.11 |
| Google Play 개발자 계정 등록비 환불 요청하기 (0) | 2025.02.28 |
- Total
- Today
- Yesterday
